본문 바로가기
기타

역전세 깡통전세 예방법 알아보기

by 소개해주는 루다 2023. 7. 5.

요즘 금리가 많이 오르면서 뉴스에 자주 나오는 얘기가 있습니다. 바로 역전세와 깡통전세인데요.

전세라는 제도는 다른 나라에도 있는 제도이지만,

특히 한국에서 활발하게 거래가 되기 때문에 거래를 하기 전 정확히 알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역전세와 깡통전세,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역전세 깡통전세
역전세 깡통전세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역전세란?
  - 역전세 주요 원인

2. 깡통전세란?
  - 깡통전세 주요 원인
3. 역전세 깡통전세 예방법

 


 

1. 역전세란?

 

역전세란 현재 내가 살고 있는 곳의 전세 시세가 2년 전 전세 시세보증금보다 낮은 현상을 말합니다.

 

조금 어려우실까요? 쉽게 풀어보자면

 

2년 전 전세계약을 한 임차인이 계약 만료가 되어가서 나가려고 했으나

현재 전세 시세가 떨어진 상태라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주택시장의 불균형을 나타내며, 주택경기의 불안정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역전세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주요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역전세 주요 원인

1) 경제상황

 - 국내 경제 상황과 소득 수준, 금리, 대출 규제 등 많은 요소들이 역전세 현상의 원인입니다.

 

2) 부동산 정책

 - 정부의 부동산 규제 및 정책이 변화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금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새로운 주택의 공급이 증가되었을 때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깡통전세란?

 

깡통전세란 현재 살고있는 집의 매매가가 전세 보증금과 같거나 낮은 주택을 전세로 계약하여 살고있는 것을 말합니다.

통상 전세금과 주택담보대출 더한 금액이 집값의 80%를 넘어서면 깡통전세에 해당한다고 보는데요.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매매가 1억원의 주택에 전세 계약을 하려 할 때

전세 계약을 8,000만원 ~ 1억에 맞춰 계약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깡통전세가 발생하는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 깡통전세 발생 원인

1) 집값이 하락하는 경우

 - 집값이 하락하면 세입자는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요즘 이러한 문제로 많은 분들이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피해를 받고 있는데요.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인해 집값이 하락하는 경우 깡통전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집주인이 주택담보대출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 집주인이 주택담보대출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전세금이 주택담보대출의 담보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집주인이 대출을 상환하지 못하면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3)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돌려주지 않는 경우

 -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돌려주지 않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역전세, 깡통전세 예방하려면?

 

역전세와 깡통전세를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전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지 사전에 확인하기

 - 계약을 하기 전 계약하고자 하는 집의 정보를 신중하게 검토해야 합니다.

    검토방법은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을 확인하고,

    계약하고자 하는 집 주변의 시세를 확인하는 등 사전에 확인해야 합니다.

 

2) 집값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은 피하기

 - 집값이 하락하면 추후 계약 만료가 되어 나갈 때

   전세금이 매매가보다 높을 수 있기 때문에 집값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은 피해야 합니다.

 

3) 집주인의 주택담보대출 보유 여부 확인하기

 - 집주인이 주택담보대출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나의 전세금이 집주인이 갖고 있는 주담대의 담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꼭 확인해야 합니다.

 

4) 전세보증보험 가입하기

 - 혹여나 집주인이 전세금을 돌려주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현재 역전세와 깡통전세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집을 구하기 전 예방법을 확인하여 피해가 없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