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소개해루다입니다.
여러분은 슈퍼문과 슈퍼블루문의 차이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이번 포스팅은 슈퍼블루문이 무엇인지, 발생 이유와 관측 방법, 관측 일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슈퍼블루문 정의
2. 슈퍼블루문 발생 이유
3. 슈퍼블루문 관측 방법
4. 슈퍼블루문 관측 일자
1. 슈퍼블루문 정의
슈퍼블루문은 3~5년에 한 번씩 나타나는 희귀한 현상입니다.
슈퍼블루문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슈퍼문과 블루문의 합성어인데요. 슈퍼문과 블루문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슈퍼문과 블루문이란?
1) 슈퍼문이란?
슈퍼문은 보름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지점에 있을 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보름달은 달의 공전 주기에 따라 매달 한 번씩 나타나는데, 지구의 공전 궤도가 타원형이기 때문에 보름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지점에 있을 때는 평소보다 더 크고 밝게 보입니다.
2) 블루문이란?
블루문은 보름달이 12개월 만에 두 번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보통 12개월에 12번 나타나는데, 12개월에 13번 보름달이 나타나는 경우를 블루문이라고 합니다.
결론적으로 슈퍼블루문은 보름달이 12개월 만에 두 번 나타나면서 지구와 가장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여 평소보다 더 크고 밝게 보이는 달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2. 슈퍼블루문 발생 이유
슈퍼블루문이 발생하는 이유는 달의 공전 궤도가 타원형이기 때문입니다. 달의 공전 궤도는 지구의 중력에 의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지구와 가장 가까운 지점과 가장 먼 지점의 차이는 약 42,000km로 달이 가까운 지점에 있을 때는 먼 지점에 있을 때보다 약 14% 더 크고 30% 더 밝게 보입니다.
추가로 슈퍼블루문은 보름달이 나타나는 날에 가장 많이 나타나지만, 그 외에도 보름달이 아닌 날에도 슈퍼문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유는 공전 주기 차이인데요. 달의 공전 주기는 약 27.3일인데, 지구의 공전 주기가 약 365.25일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보름달이 아닌 날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슈퍼블루문 관측 방법
슈퍼블루문 관측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슈퍼블루문 관측 방법
1) 빛공해가 없는 곳에서 관측하기 : 빛공해란 인공조명으로 인한 공해를 뜻합니다.
2) 달이 뜨는 방향을 확인하고 그 방향으로 가기 : 슈퍼블루문은 동쪽에서 뜨기 때문에, 동쪽을 바라보는 것이 좋습니다.
3) 일기예보 확인하기 : 관측시간에 구름이 있다면 관측이 어려우니 미리 일기예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슈퍼블루문 관측일자
5년 만에 관측되는 이번 슈퍼블루문은 2023년 8월 31일에 나타날 예정입니다. 다음은 14년 후에 관측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이에 국립과천과학관은 슈퍼블루문 특별관측회를 개최한다고 하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참여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슈퍼블루문 특별관측회 안내 바로가기
슈퍼블루문은 자연의 신비로움과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을 보시는 여러분들도 가족과 친구 등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달을 감상하며 아름다운 추억을 만드시면 좋겠습니다.